생활정보

실물경제 란 ? [경제상식]

정글의법칙 2015. 9. 24. 23:13

실물경제 란 ? [경제상식] 무엇일까요 ? .. 

요즘 상식 공부하면서 .. 끄적끄적.. 메모하다치고 블로그에 쳐박음.. 



▶ 실물경제 (시사경제용어사전 , 2010.11 , 대한민국정부)

재와와 서비스의 생산 , 판매 , 소비활동 등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말한다.

예를들어 , 실물경제가 악화된다는것은 소비가 살아나지 않아 노동의 수요도 줄고 취업이 

어려워지는 등 경제활동에 영향을 받는다는 뜻이다. 실물경제는 화폐시장 및 증권시장을 포괄하는 

금융경제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 실물경제 (시사상식사전 , 박문각)

자연경제 , 돈흐름과 운용을 의미하는 화폐(금융)경제와 대립되는 개념.

실제 물건이나 물품이 거래되는 등 눈으로 보이는 형태로 존재하는 부동산이나 기업의 생산활동 , 

개인의 노동과소비 , 유통업체의 판매행위 등 실제로 존재하면서 

실제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최근 2008년 리먼브라더스의 파산 등으로 증폭된 미국의 경제위기가 한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의 실물경제를 급속히 침체시키고 있어 경제위기를 불러오고 있다. 

특히 미국의 금융위기는 한국의 주요 수출국인 유렵과 일본 , 중곡의 실물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면서 우리 수출 환경이 덩구 나빠질 것이란 분석이다.




▶ 실물경제 (한경 경제용어사전 , 한국경제신물/한경닷컴)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 , 유통 , 소비 등과 관련된 경제활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식을 포함한 금융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 실물경제 (위키백과)

실물경제는 자족경제 또는 물물교환경제이다.

같은 뜻으로 다른말로는 현물경제라고도 하며 , 화폐경제 , 상품경제에 대비해서 쓰인다.


자족경제란 한 가족이 그들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모든 재화를 가족단체 내에서 취득하여 , 

생산과 소비가 동일한 가족내에서 이루어지는경우를 말하는것인데 , 이를 장원 , 도시 , 국가 

등에까지 확대해서 생각하는것이다.

그러나 자급자족경제를 경제의 이상으로 생각하던 아리스토텔레스 이래 , 교환을 전혀 하지 않는다는 뜻에서의 자족경제는 역사적으로 실현되지 못하였고 이상으로만 존재해 왔다.


물물교환경제란 교환수단으로서의 화폐를 사용하지 않고 현물로 교환한다는 뜻이므로 현물경제라고 할수도 있으며 , 곧 화폐 출현 이전의 경제발전단계를 가리킨다.


힐데브란트에 의하면 경제의 발전단계는 자연경제 ▶ 화폐경제 ▶ 신용경제로 이어진다.



실물경제에 대해서 여러 설명들을 참고해서 종합해보았습니다. 

말이 상식이지 .. 머리아프네 ㅠ 



반응형